본문 바로가기
HRM전문가시험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여성보호, 생리휴가, 임산부 보호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취업규칙,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by edutech_master 2024. 11. 11.
반응형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여성보호, 생리휴가, 임산부 보호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취업규칙,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여성보호, 생리휴가, 임산부 보호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취업규칙,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생리휴가

  • 요건 : 생리가 있을 것 + 여성 근로자의 청구
  • 효과 : 월 1일의 범위에서 무급휴가 부여

 

출산 전후 휴가

  • 대상 : 1인 이상 사업장의 여성 근로자 (근로계약 형태 무관. 단, 입양은 부여 대상에서 제외)
  • 효과 : 출산 전과 후를 통하여 90일(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 120일)의 휴가 부여 → 휴가 기간의 배정은 출산 후에 45일(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 60일) 이상이 되어야 함(산전에 그 이상을 휴가로 사용하였더라도 산후에 각각 45일, 60일 이상의 보호휴가를 반드시 주어야 함)

 

유산·사산휴가

  • 요건 : 유산 또는 사산한 경우 + 근로자의 청구
  • 효과 : 임신기간에 따라 5일 내지 90일의 유산·사산휴가 부여

⇒ 출산 전후 휴가 또는 유산·사산 휴가 기간 중 최초 60일(한 번에 둘 이상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75일)은 유급으로 함  (사용자에게 지급의무 있음)

⇒ 단, 출산 전후 휴가급여 등이 지급된 경우에는 그 한도 내에서 지급의 책임을 면함 (30일에 200만원 범위 내에서 근로기준법상 통상임금에 상당하는 금액)

 

육아휴직

  • 신청권자 : 육아휴직청구일 기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입양한 자녀 포함)를 양육하는 근로자, 임신기에도 사용할 수 있음
  • 효과 : 1년 이내 육아휴직 (2회에 한정하여 나누어 사용할 수 있으며 임신 중 육아휴직을 사용한 횟수는 분할 횟수에 포함하지 않음)
  • 육아휴직급여
    • 요건 : 육아휴직 30일 이상 부여(출산전후휴가 기간 90일과 중복되는 기간 제외) 이상 부여받은 피보험자일 것 + 육아휴직을 시작한 날 이전에 피보험 단위기간을 통산하여 180일 이상일 것 + 육아휴직을 개시한 날 이후 1개월부터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할 것(단, 기타 사유로 신청할 수 없었던 자는 그 사유가 끝난 후 30일 이내에 신청할 것)
    • 육아휴직급여액 : 통상임금의 80%(하한액 월 70만원 ~ 상한액 월 150만원) 단, 육아휴직급여의 25%에 해당하는 금액은 육아휴직 종료 후 해당 사업장에 복직하여 6개월 이상(기간제 근로자의 경우 복직 후 근로계약 기간 만료일까지) 계속 근무한 경우에 합산하여 일시불로 지급함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대상 :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는 자
  • 기간 및 근로시간 : 1년(육아휴직 미사용기간을 가산하는 경우 자녀 1명당 최대 2년까지 허용) 이내의 기간 동안 주당 15시간 이상 35시간 이하로 단축 근로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지급대상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30일 이상 부여받고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시작한 날 이전에 피보험기간이 180일 이상된 자 (단, 과거에 실업급여를 받았을 경우 인정받았던 피보험기간은 제외)

 

취업규칙

  • 정의 : 근로자들에게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근로조건이나 복무규율에 관해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준칙/규칙 → 실질적인 내용이 근로조건/복무규율에 관한 준칙이라면 명칭은 무관함
  • 작성의무자 : 상시 10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 (위반 시 500만 원 이하 과태료 부과)
  • 기재사항 : 업무 시작 및 종료 시각, 휴게시간, 휴일, 휴가, 임금의 결정·계산·지급방법, 임금의 산정기간·지급 시기 및 승급에 관한 사항 등
  • 작성 및 변경 절차 : 근로자집단(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 노동조합, 그외에는 근로자 과반수)의 의견 청취 +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신고

⇒ 단,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저하된 근로조건이나 강화된 복무규율 부과로 근로자의 기득이익을 박탈)하는 경우에는 의견 청취가 아닌 동의 필요

  • 과반수 노동조합의 동의 : 노조위원장의 대표권이 제한되었다고 볼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노조위원장이 노동조합을 대표하여 동의할 것(노동조합 소속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 불필요)
  •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 : 근로자 과반수의 집단의사결정 방식 또는 회의방식에 의한 동의 필요 (단, 사용자 측의 개입이나 간섭이 배제된 상태에서 기구별·부서별로 찬반을 집약한 후 취합하는 방식도 허용함)
  • 그외 노사협의회 의결 및 개별적 동의는 허용되지 않음

⇒ 동의를 받지 못한 불이익변경은 원칙적으로 무효이므로, 그 변경에 개인적으로 동의한 근로자에 대하여도 효력이 없음 (단, 사회 통념상 합리성이 있는 경우 유효할 수 있음)

⇒ 근로자집단의 동의 없이 취업규칙이 불이익변경된 후 입사한 신규근로자에게는 변경된 취업규칙이 적용됨

반응형

댓글